AMD(노인황반변성)
AMD에 대해 알아야 할 모든 것
노화는 삶에 있어 피할 수 없는 현상으로, 사람마다 미치는 영향이 다릅니다. 눈의 노화는 빠르면 40세부터 시작됩니다. 70세 이상의 성인 3명 중 1명이 AMD의 증상을 겪고 있습니다.
AMD(노인황반변성)란?
망막의 중심부인 황반은 시지각을 담당하는데, AMD는 이 황반의 기능이 퇴화되면서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눈의 세포에 산소가 부족해지면서 일종의 단백질을 생성하기 때문에 황반이 퇴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단백질은 VEGF(혈관내피성장인자)로 알려져 있는데, 혈관이 없어야 하는 망막 부위에 새로운 혈관의 성장을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황반은 글씨를 읽거나 안면 인지, 컴퓨터 화면 보기, 자동차 운전, 또는 TV 시청이나 비디오 게임과 같은 시각적 조작 능력을 제어하기 때문에 일상적인 시력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AMD의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시야 흐림 : 시야 내 사물을 구분할 수 없음
- 색맹 : 선명한 색상이 흐릿하게 보임
- 왜곡된 시각 : 직선이 구불구불하게 보임
- 맹점 : 얼굴이나 사물에 보이지 않는 부분이 생김
- 광 민감증 : 밝은 빛에 의해 통증이 생김
AMD에는 다음과 같이 두 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1. 건성(비혈관신생성) : 건성 AMD는 가장 흔한 유형으로, 진단 환자의 약 85~90%가 건성 AMD 환자입니다. AMD 발병 초기에 진단되는 건성 AMD는 황반이 가늘어지기 시작하거나, 망막에 색소 침적물이 나타나 시야를 방해하면서, 또는 두 증상이 모두 나타나면서 발생합니다. 이러한 침적물은 노란색 점(의학 용어: 드루젠(drusen))으로 보이며, 노화 조직이 축적된다는 징후입니다.
2. 습성(혈관신생성) : 건성 AMD가 더욱 진행되면 발생합니다. 변성이 더욱 진행된 상태인 습성 AMD는 혈액이나 방수를 내보내는 망막 밑에 새로운 혈관을 생성되는 상태를 말합니다. 혈액이나 방수의 유출은 보다 심각한 시각 상실로 이어져 영구적인 손상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혈관이나 빛이 지속적으로 축적되어) 망막 세포가 손상되어 죽으면, 시야 중앙에 맹점이 생기게 됩니다.
누가 AMD에 취약할까요?
황반변성은 누구에게나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세계 인구가 계속해서 고령화됨에 따라, AMD 환자도 증가할 것입니다.
유전병으로 의심되고 있으며, 퇴행성 안질환 가족력이 있는 사람들은 AMD에 더욱 취약할 수 있습니다. 흡연자, 심각한 마약 중독자, 고혈압 환자, 비만인, 눈동자 색상이 연한 사람, 그리고 여성이 AMD에 취약한 편입니다.
AMD의 치료법은?
현재 입증된 AMD 치료법은 없는 실정입니다. 하지만, 건성 AMD를 제외한 AMD의 진행 속도를 늦출 수 있는 치료법이 있으며, 현재 임상 시험이 진행 중입니다. 연구에 따르면, 항산화 비타민 함유량이 높은 영양제를 복용할 경우 건성 AMD가 심각한 습성 AMD로 진행될 가능성이 줄어드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임상 시험 외에, 건성 AMD를 예방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건강한 식습관과 규칙적인 운동, 그리고 유해 자외선으로부터 눈을 보호하는 것입니다.
AMD 증상과 치료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가까운 안과에 문의하세요.
AMD에 관해 궁금한 점이 있으신가요?
가까운 안과를 방문하여 그 증상과 치료법에 대해 알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