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선혐기증 : 증상, 원인 및 치료법
광선혐기증이란?
광 민감증이라고도 하는 광선혐기증은 빛에 대한 과민증으로, 직사광선 또는 램프나 가로등과 같은 인공 광원에 반응합니다.
빛에 민감한 사람은 자연광과 인공광에 의해 메스꺼움이나 두통을 느낄 수 있으며 그 외 또 다른 증상을 경험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다음과 같습니다.
- 목의 경직.
- 눈 주변부의 가려움이나 홍조
- 신체 특정 부위의 감각 상실
- 청력의 변화
홍채의 색상이 밝은 사람들은 빛으로부터 눈을 보호하는 색소가 적기 때문에 홍채가 어두운 사람들보다 광선혐기증의 증상이 훨씬 심할 수 있습니다. 이는 특히 밝은 빛에 노출되었을 때 심한데, 여름철 쨍쨍한 햇빛을 가려주는 구름이 없을 때 증상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
광 민감증의 원인은?
광 민감증의 원인은 매우 다양합니다. 이는 모든 연령대에서 나타나며, 사람에 따라 심각도가 다릅니다. 광선혐기증을 일으키는 요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편두통에 취약한 사람들에게서 주로 나타납니다.
- 망막 박리, 각막 마모(각막 긁힘), 포도막염 (포도막의 염증) 증상이 있는 사람들에게서 나타납니다.
- 눈의 염증이나 화상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안구 감염이나 부상과 마찬가지로 눈의 궤양도 광선혐기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콘택트 렌즈(또는 콘택트 렌즈를 처방 시간보다 길게 착용할 경우)를 올바르게 착용하지 않아 눈에 자극을 느끼면서 이것이 광 민감증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 안구 굴절 교정수술을 받은 사람에게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 그 외에 항히스타민제나 여드름 치료제, 혈압약 등 일부 약물의 부작용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의사와 상의하여 복용 중인 약물을 변경하십시오.
- 수막염을 비롯해 중추 신경계에 영향을 주는 질환들 역시 광 민감증을 일으킬 수 있으며, 여기에는 광견병, 수은 중독, 결막염, 백색증 등이 있습니다.
광선혐기증의 치료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광 민감증이 자주 나타날 경우, 몇 가지 간단한 조치를 통해 증상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가령, 강한 빛은 가급적 피하고, 햇빛이 부실 때는 UV 차단 기능이 있는 렌즈를 항상 착용하여 눈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보안경을 착용하거나 밝은 햇빛을 피하는 것 외에도 몇 초 내지 몇 분 동안 눈을 감고 있거나 조광 스위치로 방의 조도를 낮춤으로써 증상을 쉽고 빠르게 완화할 수 있습니다.
광선혐기증을 치료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근본적인 원인을 파악하는 것입니다. 문제점을 해결하면 광 민감증이 대체로 완화됩니다.
밝은 빛에 민감하신가요?
지금 바로 가까운 안경원을 방문하여 눈을 보호하는 방법을 찾아보세요.